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 은퇴 준비

IRP로 월급처럼 돈 받는 법|퇴직자 맞춤형 연금 수령 설정 가이드

by Sunrise67 2025. 5. 17.

IRP로 월급처럼 돈 받는 법|퇴직자 맞춤형 연금 수령 설정 가이드
irp-monthly-withdrawal-strategy

 

IRP에 쌓인 자산을 매달 일정하게 인출하는 방법은? ETF, 예금, 채권 운용 후 생활비처럼 꺼내 쓰는 연금 설정법을 실전 사례로 소개합니다.

 

 

 

 왜 IRP에서 ‘월급처럼 꺼내 쓰는 전략’이 중요한가?

 

IRP(개인형 퇴직연금)는 단순히 돈을 모아 두는 계좌가 아닙니다.
은퇴 이후엔 이 자산을 **"매달 생활비로 활용하는 수단"**으로 바뀌어야 합니다.

하지만 이런 고민이 많습니다:

  • “IRP 돈은 한 번에 못 꺼내나요?”
  • “ETF 배당은 불규칙해서 생활비로 쓰기 어렵던데요…”
  • “매달 정해진 날짜에 현금 흐름을 만들고 싶어요.”

👉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계좌 구조와 수령 방식의 세팅이 필요합니다.


 

IRP 수령 방식 2가지 비교

 

항목 연금 수령 일시금 수령

방식 일정 기간(5년 이상) 나눠서 출금 한 번에 전액 인출
세금 연금소득세 3.3~5.5% 적용 기타소득세 16.5%
유리한 점 세금 낮고, 장기 운용 가능 단기 급전 확보 가능
권장 대상 생활비로 월 수령 원하는 은퇴자 특정 시점 목돈 필요자

 

👉 월급처럼 쓰려면 무조건 “연금 수령 방식”을 선택해야 함


 

IRP ‘월 지급형’ 설정 방법

 

① 연금 개시 신청

  • 연금 수령은 만 55세 이후 가능
  • 증권사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연금 개시’ 메뉴 선택
  • 연금 지급 방식 선택 (월 지급, 분기 지급 등)

  주요 증권사 IRP 연금 수령 설정 경로

  • NH투자증권: 마이페이지 > 퇴직연금관리 > 연금 수령 설정
  • 삼성증권: 연금설계센터 > 연금지급신청
  • 키움증권: 퇴직연금 메뉴 > 연금개시신청

② 연금 수령 금액 및 주기 설정

  • 월/분기/반기/연단위 선택 가능 (📌 대부분 월 수령 선택)
  • 수령 금액은 고정형(정액) 또는 정률형(수익률에 따라) 선택 가능
  • 수령 계좌 설정 (본인의 은행 계좌로 자동 입금)

  예시 설정

  • 매월 30일 / 정액 50만 원 / 본인 국민은행 계좌 입금

③ 수령 방식 중 ‘정액 수령’ 추천 이유

정액 수령 정률 수령

매월 고정된 금액 인출 (ex. 50만 원) 잔액의 일정 비율만큼 인출 (ex. 3%/년)
생활비 흐름 예측 쉬움 수익률 따라 변동되어 불안정
은퇴자에 적합 투자를 지속하려는 경우에만 선택

 

 IRP 월 수령 포트폴리오 예시

 

총 잔고 8,000만 원 기준
→ 매월 50만 원씩 정액 수령 목표

자산 구성 상품 예시 비중 역할

ETF 배당형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KODEX 커버드콜 50% 배당 수익 기반
채권형 ETF KOSEF 국고채 10년, KODEX 단기채권 30% 원금 방어, 안정 수익
예금형 IRP CMA / 정기예금 20% 월 출금 재원

 

💡 배당금 + 정액 출금 + 안정적 자산 → 복합적인 월급형 포트 완성


 실제 월 수령 흐름 시뮬레이션

월 배당 입금 월 정액 출금 총 월 현금 흐름

1월 20만 원 50만 원 70만 원
2월 0원 50만 원 50만 원
3월 25만 원 50만 원 75만 원
4월 0원 50만 원 50만 원

 

📌 배당이 있는 달은 월 생활비가 넉넉하고,
📌 배당이 없는 달은 정액 인출로 흐름 유지


 IRP 월급형 시스템의 장점

1 세금 혜택: 연금 소득세율 3.3~5.5%
2 배당+정액 수령 혼합 가능
3 생활비처럼 정기적으로 현금 흐름 확보
4 수익은 계좌 내에서 계속 운용 가능
5 공공기관/지자체 수급 조건 충족 (노령연금·기초연금 등)


 주의사항

항목 설명

연금 수령 기간 최소 5년 5년 미만 수령 시 세금 혜택 사라질 수 있음
중도 해지 제한 필요 시 부분해지는 가능하지만 신중해야 함
ETF 포함 시 원금 손실 가능성 배당형/채권형 혼합 구성으로 리스크 분산 필요

 

IRP는 생활비 통장이 될 수 있다

 

IRP를 단순히 퇴직금 보관용이 아닌


 “현금 흐름을 만들어내는 시스템” 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

  • ETF + 정액 인출로 구성
  • 배당은 보너스, 월 수령은 생활비
  • IRP를 내 인생의 두 번째 월급 통장으로 바꾸는 전략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


 

IRP 내 자산은 원금이 보장되지 않으며, 투자자산 구성에 따라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금 수령 방식은 한번 결정하면 변경이 제한되므로, 반드시 투자 성향과 은퇴 계획에 맞춰 설계하셔야 합니다.


 

#IRP월급받기#IRP연금수령#ETF생활비전략#IRP출금설정#퇴직자자산운용#IRP정액수령#연금처럼ETF쓰기
#은퇴ETF전략#IRP배당수익#IRP현금흐름설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