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장년을 위한 재테크 & 은퇴 준비

월배당 추천 ETF · 분기배당 추천 ETF 정리|국내 ETF vs 해외 ETF 비교

Sunrise67 2025. 4. 26. 10:37

국내 ETF vs 해외 ETF 비교
recommended-etf-domestic-overseas

 

퇴직금 투자, 월배당·분기배당 ETF 어떤 걸 고를까? 국내 ETF와 해외 ETF 추천 리스트, 장단점까지 쉽게 정리한 중년 투자자를 위한 가이드입니다.

 

 

 

 

  국내 ETF 추천

 

  국내 월배당 ETF 추천

 

종목명주요 특징

 

KODEX 월배당 커버드콜 ATM (400640) 커버드콜 전략으로 월배당 지급
TIGER 미국S&P500 월배당액 (457760) S&P500 기업에 투자, 매달 일정 배당 지급
HANARO 월배당 커버드콜 (454450) 변동성 낮추는 커버드콜 + 월배당 조합

 

  국내 분기배당 ETF 추천

 

종목명주요 특징

 

KODEX 배당성장 ETF (328380) 배당 증가 기업 중심 투자
TIGER 미국다우존스30 ETF (310970) 미국 다우지수 30종목 분기배당
KBSTAR 고배당 ETF (217770) 국내 고배당주 중심 포트폴리오 구성

 

  국내 ETF 투자 유리한 점

  • 환전 수수료와 환위험 부담 없음 (KRW 투자)
  • 배당소득에 대한 세금처리가 간편 (원천징수)
  • 국내 증권사 앱으로 손쉽게 매수/매도 가능

 국내 ETF 투자 불리한 점

  • 해외 ETF에 비해 선택지가 제한적
  • 월배당 상품이 아직 활성화 초기 단계
  • 글로벌 대표 종목 직접 투자 비율이 낮음

  해외 ETF 추천

  해외 월배당 ETF 추천

 

종목명주요 특징

 

QYLD (Global X Nasdaq 100 Covered Call ETF) 나스닥 100 커버드콜 전략, 월배당 대표
JEPI (JPMorgan Equity Premium Income ETF) 고배당주 + 커버드콜, 변동성 낮음, 월배당
PFFD (Global X US Preferred ETF) 미국 우선주 투자, 고정 수입, 월배당

 

  해외 분기배당 ETF 추천

종목명주요 특징

 

SPY (SPDR S&P500 ETF Trust) S&P500 대표, 안정성 최고, 분기배당
VOO (Vanguard S&P500 ETF) 수수료 저렴, 장기 성장, 분기배당
SCHD (Schwab US Dividend Equity ETF) 고배당 성장주 중심, 분기배당, 안정성 우수

 

  해외 ETF 투자 유리한 점

  • 글로벌 대표 기업(애플, 구글, MS 등)에 직접 투자 가능
  • 다양한 고급 ETF 상품군 선택 가능
  • 장기적으로 자산 성장성과 배당 수익률 모두 기대 가능

 

  해외 ETF 투자 불리한 점

  • 환전 수수료(달러화 변환) 발생
  • 환율 변동 리스크 존재 (달러 강세/약세 영향)
  • 해외 배당소득 세금(15% 원천징수) 별도 고려 필요
  • 해외 주식 양도소득세 신고 필요 (매도차익 250만 원 초과 시 과세)

 

  중년 투자자 관점에서 정리

선택 기준추천 방향

 

환율 변동 걱정 없다 국내 ETF 우선 고려
매달 안정적 생활비 필요 국내 월배당 ETF + 해외 월배당 ETF 혼합
장기 자산 성장 원한다 해외 분기배당 ETF 중심 포트폴리오
세금 문제 간단히 하고 싶다 국내 ETF 중심 투자
글로벌 우량기업 직접 투자 원한다 해외 ETF 직접 투자

 


  국내 ETF와 해외 ETF를 적절히 섞어라

국내 ETF는


 수수료 부담이 적고
 환율 걱정 없이 간편하다.

 

해외 ETF는


 장기적으로 높은 성장성과
 다양한 월배당·분기배당 상품 선택지가 있다는 강점이 있다.

 

따라서 국내 ETF로 안정성을 확보하고, 해외 ETF로 수익성과 배당 수익을 강화하는


'혼합 포트폴리오 전략'이 가장 유리하다.

 

 

 

 

 

ETF 투자 시 주의사항


⚠️ ETF 투자 주의사항

 

1️⃣ 투자에는 손실 위험이 있습니다

  • ETF는 주식, 채권, 부동산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하지만
    적금처럼 원금이 보장되는 상품이 아닙니다.
  • 시장 상황에 따라 가격이 하락할 수 있으며,
    투자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은퇴 이후 목돈을 투자할 경우
한 번의 큰 손실이 생활 전반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매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합니다.


2️⃣ 거래수수료 및 운용 수수료가 발생합니다

  • 증권사 거래수수료:
    ETF 매매 시 소액의 거래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보통 0.015% 내외)
  • ETF 운용 수수료(총 보수, TER):
    ETF를 운용하는 데 드는 비용이 매년 발생합니다.
    (예: SPY 연간 운용보수 0.09%, VOO는 0.03% 수준)

✅ 운용 수수료는 직접 청구되지는 않지만,
ETF 순자산가치(NAV)에서 자동 차감되므로 장기 수익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해외 ETF 투자 시 추가 고려사항

  • 환전 수수료:
    국내 원화를 달러로 환전할 때 수수료(보통 0.1~1%)가 발생합니다.
  • 환율 변동 리스크:
    달러 강세/약세에 따라 수익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환율 변동은 배당 수익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 세금:
    해외 ETF 매도 차익은 연간 250만 원 초과 시 양도소득세(22%)가 부과됩니다.
    배당금 수령 시 미국에서 15% 세금이 원천징수됩니다.

4️⃣ 모든 투자 결정과 책임은 본인에게 있습니다

  • 본 글은 투자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된 참고 자료이며,
    특정 상품 매수를 권유하거나 보장하는 목적이 아닙니다.

✅ 투자 여부, 금액, 상품 선택 등 모든 결정은
투자자 본인이 충분히 검토하고 판단해야 하며,
그 결과에 따른 모든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 투자 전 반드시 개인의 재정 상황, 투자 성향, 위험 감수 능력을 고려하여 신중히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요약

  • ETF 투자 = 높은 유동성과 수익 가능성 ✔️
  • 그러나 원금 손실, 수수료, 환율 리스크 항상 존재 ⚠️
  • 신중한 자산 배분, 장기적 관점이 필수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