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 개요
2025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International Streaming Festival 2025) 이 8월 22일(금)부터 25일(월)까지 4일간 부산 영화의전당과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개최됩니다. 이번 축제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부산광역시가 공동 주최하고, (사)코리아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과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공동 주관하는 국내 유일이자 최대 규모의 스트리밍 축제입니다.
'Streaming What's Next'를 슬로건으로 하는 이번 페스티벌은 전 세계 OTT 플랫폼, 시리즈, 리얼리티&버라이어티쇼, FAST 서비스, 엔터테크, 숏폼, 뮤직, e스포츠 등 스트리밍 산업의 모든 것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축제로 기획되었습니다.
주요 특징
- 국내 유일의 스트리밍 특화 국제행사
- OTT·FAST(광고형 무료 TV) 중심 프로그램
- 글로벌 플랫폼과 콘텐츠 제작사 네트워킹 기회
- 투자 유치 및 해외 진출 플랫폼
기존 국제OTT페스티벌과의 차이점
이번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은 기존의 국제OTT페스티벌과 ACA & 글로벌OTT어워즈의 통합 및 확장된 형태입니다. 과거에는 부산국제영화제(BIFF) 내에서 부분적으로 진행되던 OTT 관련 행사들이 이제 독립적이고 포괄적인 스트리밍 전문 축제로 성장한 것입니다.
확장된 규모와 범위
4일간의 집중적인 프로그램
영화 중심에서 전방위 스트리밍 콘텐츠로 확장
국내외 주요 OTT 플랫폼 참여 확대
투자 및 비즈니스 기회 강화
핵심 프로그램과 볼거리
1. 글로벌OTT어워즈 (Global OTT Awards)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시상식으로, 전 세계 우수한 OTT 콘텐츠와 플랫폼을 시상합니다. 국내 OTT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을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무대입니다.
2. 투자유치 쇼케이스 (Investment Pitch Showcase)
신규 OTT 콘텐츠 제작사와 스타트업이 투자자들에게 직접 프레젠테이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콘텐츠 IP 사업화와 해외 진출을 위한 핵심 프로그램입니다.
3. 미디어&브랜드데이 (Media & Brand Day)
영화와 기술, 브랜드, 관객이 함께 어우러지는 네트워킹 프로그램으로, OTT 업계 관계자들의 만남과 협력 기회를 제공합니다.
4. OST 콘서트
음악과 영상의 융합을 통한 문화 콘텐츠 향유 기회를 제공하며, K-콘텐츠의 음악적 매력을 전 세계에 알리는 무대입니다.
5. 국제 스트리밍 서밋 (International Streaming Summit)
OTT·FAST 산업의 최신 트렌드와 미래 전망에 대한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논의가 진행됩니다.
6. 시리즈 상영 (Series Screenings)
국내외 신작 드라마 시리즈와 숏폼 콘텐츠를 선보이며, 차세대 스트리밍 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2025 글로벌OTT어워즈 후보작 및 후보자 전체 리스트
2025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 글로벌OTT어워즈가 8월 24일 개최를 앞두고 14개 부문별 후보작(자)을 공식 발표했습니다. 총 38편의 후보작(자)이 엄선되었으며, 주요 부문별 후보작 리스트는 다음과 같습니다.
🏆 베스트 크리에이티브 부문
- 사형 집행 명령 (넷플릭스) - 인도 교도소 비리를 다룬 작품
- 매드 유니콘 (넷플릭스) - 태국 실화 기반 작품
- 북상 (아이치이) - 중국 청년 성장 서사
- 미지의 서울 (tvN) - 국내 시상식 중 최초 후보 지명
- 폭싹 속았수다 (넷플릭스)
🎬 베스트 OTT 오리지널 부문
- 스포트라이트는 나의 것 (넷플릭스)
- 가족계획 (쿠팡플레이)
- 난홍 (유쿠)
- 나인 퍼즐 (디즈니+)
- 스터디그룹 (티빙)
- 예스터데이즈 유 (Viu)
🌏 베스트 아시아 콘텐츠 부문
- 4°C (TV+)
- 화외지의 (PTS+)
- 세이빙 그레이스 (프라임 비디오)
📺 베스트 리얼리티/버라이어티 부문
- 대환장 기안장 (넷플릭스)
- 올드 테이스트 디텍티브 5 (meWATCH)
- SNL 코리아 시즌7 (쿠팡플레이)
- 월드 오브 스트릿 우먼 파이터 (티빙) - 이번 어워즈 최초 후보 지명
🎭 개인상 부문
감독상
- 심나연 - JTBC <굿보이> (국내 시상식 중 최초 후보)
- 노타폰 분프라콘 - 넷플릭스 <매드 유니콘>
- 요효봉 - 아이치이 <북상>
- 볼로디미르 야노슈추크 - channel DIM <더 트레인> (우크라이나 전쟁 배경 첫 출품작)
- 김원석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작가상
- 토쿠오 코지, 이치노에 요시노 - TBS <사자의 은신처>
- 강풀 - 디즈니+ <조명가게>
- 장 스시엔, 원 위팡 - PTS+ <화외지의>
- 이강 - tvN <미지의 서울>
- 호 칭이 - Viu <왓 이프>
- 임상춘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주연 배우상 (남)
- 베릭 아이차노프 - TV+ <4°C>
- 백경정 - 유쿠 <난홍>
- 박보검 - JTBC <굿보이>
- 나타랏 노파라따야폰 - 넷플릭스 <매드 유니콘>
- 주지훈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 사카구치 켄타로 - 쿠팡플레이 <사랑 후에 오는 것들>
주연 배우상 (여)
- 박은빈 - 디즈니+ <하이퍼나이프>
- 백록 - 아이치이 <북상>
- 박보영 - tvN <미지의 서울>
- 아이유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 히로세 스즈가 - TBS <누가 공작의 춤을 보았나?>
조연 배우상 (남)
- 왕천원 - 아이치이 <표백>
- 우전위 - 유쿠 <변수왕사>
- 오정세 - JTBC <굿보이>
- 반도 료타 - TBS <사자의 은신처>
- 최대훈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조연 배우상 (여)
- 중신링 - 넷플릭스 <스포트라이트는 나의 것>
- 문기 - 유쿠 <이인지하2>
- 오노 마치코 - TBS <사자의 은신처>
- 장영남 - tvN <미지의 서울>
- 염혜란 - 넷플릭스 <폭싹 속았수다>
신인상 (남)
- 자한 카푸르 - 넷플릭스 <사형 집행 명령>
- 히란킷 창캄, 웡라위 나티톤 - GMM25 <하이스쿨 프레너미>
- 사팽원 - 아이치이 <차명이생>
- 강유석 - tvN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 추영우 - 넷플릭스 <중증외상센터>
신인상 (여)
- 서약함 - 아이치이 <애니 : 널 사랑해>
- 수리 린 - 넷플릭스 <스포트라이트는 나의 것>
- 이수현 - 쿠팡플레이 <가족계획>
- 정수빈 - U+ 모바일tv <선의의 경쟁>
🎨 기술 및 음악상
베스트 디지털 VFX 작품상
- 천국보다 아름다운 (JTBC)
- 이인지하2 (유쿠)
- 조명가게 (디즈니+)
- 재인간 : 사람들 속에서 (아이치이)
음악상
- 임영웅 '천국보다 아름다운' - JTBC <천국보다 아름다운>
- 오월천 '맘대로' - 유쿠 <난홍>
- 10CM '노을' - tvN <미지의 서울>
- 투모로우바이투게더 '그날이 오면' - tvN <언젠가는 슬기로울 전공의생활>
- 아도 '누가 공작의 춤을 보았나?' - TBS <누가 공작의 춤을 보았나?>
📊 주목할 만한 통계
- 폭싹 속았수다가 총 6개 부문(베스트 크리에이티브, 감독상, 작가상, 주연 배우상(여), 조연 배우상(남), 조연 배우상(여))에 최다 후보로 선정되며 상반기 최고 화제작임을 입증
- 배우 부문(주연, 조연, 신인) 후보 31명을 대상으로 한 대중 투표를 통해 남녀 각 1명에게 '피플스 초이스상'을 추가 수여 예정
🎯 시상식 정보
- 일시: 2025년 8월 24일 오후 7시
- 장소: 부산 영화의전당 야외극장
- 대중투표: 글로벌 팬덤 플랫폼 마이원픽(my1pick)을 통해 진행
이번 글로벌OTT어워즈는 한국, 중국, 일본, 베트남, 태국, 인도, 우크라이나 등 각국 전문가들로 구성된 예심 심사위원단이 엄선한 작품들로, 전 세계 OTT 콘텐츠의 다양성과 완성도를 보여주는 라인업을 자랑합니다.
글로벌 스트리밍 산업 중심지로서의 부산
아시아 콘텐츠 허브로의 도약
국내 OTT 산업 발전을 위한 국제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국내 OTT서비스·콘텐츠의 글로벌 인지도 제고 및 해외진출 기회 확대를 목표로 하는 이번 축제는 부산을 아시아 디지털 콘텐츠의 중심지로 만들어 나가고 있습니다.
영화 도시에서 스트리밍 도시로
부산국제영화제로 이미 영화 도시로서의 브랜드를 확립한 부산이 이제 OTT와 스트리밍 콘텐츠의 메카로 진화하고 있습니다. 이는 전통적인 영화 산업에서 디지털 미디어 산업으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보여주는 상징적인 사건입니다.
정부와 지자체의 강력한 지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부산광역시의 공동 주최로 진행되는 만큼, 정책적 지원과 산업 육성 의지가 명확히 드러나고 있습니다.
향후 전망 및 산업 파급 효과
1. 콘텐츠 IP 가치 극대화
- 글로벌 시장 진출 기회 확대
- 투자 유치를 통한 제작비 확보
- 해외 플랫폼과의 공동 제작 활성화
2. 지역 미디어 산업 생태계 구축
- 부산의 디지털 콘텐츠 산업 허브화
- 관련 기업 유치 및 일자리 창출
- 창작 인력 양성 및 인프라 확충
3. 산업-정책 연계 강화
- 정부 정책과 민간 투자의 시너지
- 글로벌 스탠다드 도입 및 표준화
- 국제 협력 네트워크 구축
4. K-콘텐츠 경쟁력 제고
- 한국 스트리밍 콘텐츠의 브랜드 가치 상승
- 해외 시장에서의 인지도 확대
- 차세대 콘텐츠 트렌드 선도
스트리밍 산업의 새로운 출발점
2025 국제스트리밍페스티벌은 단순한 축제를 넘어서 한국 스트리밍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리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OTT 플랫폼의 급성장과 함께 콘텐츠의 질적 향상, 투자 생태계 활성화, 그리고 국제적 네트워킹 강화가 동시에 이뤄질 수 있는 아시아 최고의 스트리밍 축제로 자리잡을 전망입니다.
특히 부산이 가진 영화 산업의 인프라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디지털 콘텐츠 산업의 새로운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가 될 것입니다. 전 세계 OTT 업계 관계자들이 주목하는 이번 축제를 통해 K-콘텐츠의 무한한 가능성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행 & 맛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단체관광 무비자 허용|2025년 한국 관광산업에 불어올 변화와 영향 분석 (0) | 2025.08.17 |
---|---|
샤브샤브 뷔페 열풍, 2025년 외식 트렌드를 이끄는 새로운 대세 (0) | 2025.08.16 |
디지털 노마드 비자, 어떤 나라가 인기? 2025년 검색 급증 국가 TOP 7 (0) | 2025.08.13 |
스트리밍 페스티벌 2025, 부산 스트리밍 축제 (0) | 2025.08.12 |
8~9월 비수기 제주도 렌트카·숙소 할인 꿀팁 모음 (0) | 2025.08.08 |